인터뷰 시리즈는 컨텐츠의 최전선에서 자신만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 건축과 컨텐츠 기획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간삼건축 G.BI 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다경와인에서 수입하는 와인들 (출처 : 시사와인)

다경와인의 진정훈 대표님과 두 시간 남짓한 시간동안 인터뷰를 진행하며 내추럴 와인과 와인 수입 시장, 와인 바 운영 등에 대한 심도있는 지식들을 들을 수 있었다. 아래 내용은 그 중 일부이다.

안녕하세요? 다경와인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희는 내추럴 와인을 전문으로 수입하는 와인 수입사 <다경와인>입니다. 저희는 프랑스의 생산자들의 와인을 중점적으로 수입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내의 내추럴 와인 생산자는 500여명이 넘지만, 저희가 생각하는 어느 정도의 기준에 부합하는 와인메이커는 100명도 되지 않고, 한국으로 수출 가능한 양을 생산하는 와인메이커는 50~60여명 정도입니다. 저희는 그 중 엄선한 27여명의 와인메이커와 독점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내추럴 와인은 어떤 와인인가요?

내추럴 와인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가장 쉬운 설명은 포도가 자란 그 곳만의 환경(Terroir)을 그대로 담은 와인입니다. 내추럴 와인은 기존에 와인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정한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위적인 처리들을 최소화하고, 자연 효모를 이용해 포도를 재배한 지역의 특성을 와인에 최대한 표현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는 자연이 주는 발효 과정이 그대로 녹아 들어간, 와인메이커 본인이 직접 포도를 기르고 양조하는 와인을 선정하여 수입하고 있습니다. 결국 내추럴 와인은, 역사에서 처음 와인을 만들때 사용했던 전통 방식으로 만든 와인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프랑스 와인을 중점적으로 취급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프랑스 와인을 중점적으로 수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제가 프랑스로 유학을 다녀와서입니다. 아무래도 언어가 잘 통하기 때문에, 와인메이커들과 더 잘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죠. 와인을 단순히 수입하고 판매하는 부분에만 치중해서는 내추럴 와인 시장을 만들어 나가기 어렵습니다. 농부가 왜 그렇게 고생해서 와인을 만들어야 하는지 소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현재 프랑스에만 한정하지 않고 다른 지역의 내추럴 와인도 계속 탐색 중입니다.

다경와인에서 와인을 공급받기 위한 절차가 궁금합니다.

다경와인에서는 1년에 두 차례 출시를 합니다. 가을에 주 물량을, 겨울이 끝나가는 시기에 추가 물량을 공유하는데요, 출시 1달정도 전에 수입한 물량에 대해서 레스토랑과 바에서 희망하는 수량을 기준으로 와인 물량을 공유합니다. 내추럴 와인은 생산량이 한정되어 있고, 전 세계에서 나눠서 가져가다 보니 저희도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이 한정되어 있어서, 레스토랑별 희망 수량을 전부 채워드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와인 바를 운영하기 위한 중점 포인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와인을 편하게 마실 수 있는 분위기와 와인을 판매하는 분의 역량이 갖춰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와인은 손님이 추천을 부탁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신이 마셔본 와인에 대해서 솔직하고 유려하게 표현하는 분이 와인 추천을 해 주시면, 손님들도 만족하고 와인 판매도 잘 이뤄집니다.

내추럴 와인을 판매하는 와인 바는 주로 어떤 컨셉인가요?

해외 출장을 다니면서 최근에 핫한 내추럴 와인 바들을 다녀 보시면, 한국이나 해외나 비슷한 추세입니다. 이전에는 비싼 와인 가격대 혹은 그런 인식으로 인해서 한껏 분위기를 잡고 마시는 와인 바가 중심이었다면, 최근에는 보다 가볍고 캐주얼하게 들려서 편하게 마시는 분위기의 와인 바가 지배적인 흐름입니다.

내추럴 와인 시장의 전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와인 시장은 현재 안정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내추럴 와인은 신규 트랜드라는 점으로 시장이 성장하는 이유도 있지만, 기존의 와인과는 다르면서도 또 맛이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매년 성장하는 상황입니다. 저희가 수입하는 와인 시음회를 제주도에서 개최했을 때, 70분 중 50분이 서울 등의 지역에서 비행기를 타고 시음회에 참여하실 만큼 찾아와서 마시는 와인이기도 하고요. 저는 현재 와인 시장 중에 가장 활발하게 규모를 키워가는 시장이 내추럴 와인 시장이라고 생각합니다.